k-startup 창업초기강좌_경쟁사 비즈니스모델 검증
09
경쟁사 비즈니스 모델 검증-1
내용의 순서
09-1. 경쟁자 비즈니스 모델 검증의 의의
09-2. 경쟁자 비즈니스 모델 검증을 위한 사전활동
09-3. 경쟁자 비즈니스 모델 분석 프로세스
09-1. 경쟁자 비즈니스 모델 검증의 의의
-창업기업으로 경험이 아직 부족하다면!
1) 비즈니스 모델 찾아보기
2) 경쟁기업의 사업 수행 파악하기
3) 2번을 통해 창업기업은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 수립하기
-비즈니스 모델 검증의 의의
1) 시장과 경쟁구도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2) 위협과 기회를 인지할 수 있다.
3) 급변하는 시장환경에 따라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혁신할 수 있다.
-경쟁자 비즈니스 모델 분석의 필요성
1) 경제활동수립
제품, 기업의 역량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조사 및 분석이 이뤄지지만 아이템을 통해 수익 창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하다. 시장과 경쟁사를 분석함으로써 어떻게 만들것인지 어떻게 팔것인지에 대해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비즈니스모델
우수한 고객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이 가치를 점유하기위한 포지션에 자신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취할 활동에 대한 일련의 사항 정리하게 된다.
경쟁자와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산업적 관점에서 비교
*산업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 환경분석을 통해 환경 변화에 대응할 능력을 보유하고 보유자원이나 보유할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비로소 경쟁우위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09-2. 경쟁자 비즈니스 모델 검증을 위한 사전활동
-경쟁사 비즈니스 모델 검증의 필요성
경쟁기업의 사업수행을 파악함으로써 창업 기업의 경제활동을 수립할 수 있다.
우수한 고객가치를 찾아내고 이 가치를 점유하기 위해 해야할 일을 정리할 수 있다.
-경쟁자 비즈니스 모델 분석하는 방법
산업환경 분석하고 역량 파악하기 위한 5가지 전략도구
1) 산업구조 분석을 위한 5 Forces Model
2) 자사 경쟁력 분석을 위한 Value Chain
3)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위한 SWOT 분석
- 산업구조 분석을 위한 5 Forces Model
비즈니스를 둘러싸고 있는 힘에 대한 점검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와 미래에 대한 경쟁강도를 비교하여 분석하면 미래에 대한 사업적 통찰력을 얻는 데 활용할 수 있다.
5가지 경쟁세력
1-1) 기존 산업 내 경쟁 정도
1-2) 구매자의 협상력
1-3) 공급자의 협상력
1-4) 신규 시장진입자의 위협
1-5) 대체재의 위협
>진입하는 산업내의 경쟁강도와 산업의 매력(수익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됨.
- 자사 경쟁력 분석을 위한 Value Chain
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이 무엇이고 각 기능들이 어떤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분석하는 전략적 방법론이다.
> 자신과 경쟁자의 역량을 분석하고 나와 경쟁사의 경쟁력을 무엇으로 둘 것인지 결정하는 데 도움.
-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위한 SWOT 분석
창업 기업이나 경쟁 기업의 강, 약점, 기회, 위협요인들을 규정하고 비즈니스 모델 수립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하는 방법
*체크리스트 작성 방법: 이슈를 도출하고 이슈에 대한 방향성도 표현할 것
ex) 고령화인구(이슈) 증대(방향성)
09-3. 경쟁자 비즈니스 모델 분석 프로세스
* 재직 중일 때 특허권 귀속문제
-근로계약서에 명시할 것(직원이 재직중 발명한 특허의 소유권은 모두 회사로 귀속된다, 발명자는 직원 이름으로)
-BM특허는 큰 효력은 없음
-사업을 영위할 때 크리티컬한 포인트일 경우 회사가 특허 신청 및 비용 부담하여 회사로 귀속시킬 것
-특허 등록 소요 기간: 우선 심사를 청구하더라도 1.5-2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