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비즈섹션

growing_v 2021. 2. 7. 23:01

2021.02.04

 

신세대 회장들의 친구 같은 리더십

백기복 국민대 경영대학교수

 

1) 리더십의 변화

하면 된다식 사명감

이병철-정주영-구인회 라인

돌파혁신 카리스마

이건희-정몽구-구본무

친구같은 리더십

 

2) 신세대 리더십의 특징

일반인이라는 인식을 주기 위해 노력한다.

비유기적 성장을 추구한다

>M&A로 짧고 굵게 기업을 성장

>>>왜 경쟁에서 속도가 중요해진 것일까?

예전에는 씨를 뿌리고 키워내는 사업 방식이었다면 왜 속도가 더욱 중요해진 것일까?

-경쟁심화

-산업구조 변화의 가속화

 

ESG를 강조한다.

돈만 버는 탐욕스러운 괴물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노력한다.

 

>>>시장의 모습은 소비자의 필요가 형성해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소비자에게 제품력은 기본이고, 윤리적으로 호소하고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기업의 모습은,
제품 수준의 상향평준화, 소비자의 윤리의식 향상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보면 될까.

 

3) 도전과제에 직면한 CEO에게 필요한 역량

학습 + 예지 >판단

>>휴먼스킬

※꾸준히 학습하고 예지하여 판단할 수 있어야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시대와 소통하는 '찐 브랜드'가 되고싶다면 '공감 안테나'를 켜라.

장선경 제일기획 CD

 

>시대공감능력. 시대 정서 파악 능력이 중요하다.

왜? 시대의 정서를 잘 짚어낸 이야기들은 SNS 덕을 톡톡히 보며 짧은 시간 내에 전세계로 퍼져 널리 회자된다.

무엇으로? 콘텐츠, 모델, 장면, 배경음악, 카피 한 줄 등

예시

-성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반영한 자동차 광고

'성공' 드러내는 물리적인 것→ 보이지 않는 영향력

'자동차' 차 자체에 집중→ 영향력 있는 인물을 통한 광고

 

시대를 면밀히 관찰하고 느끼며 공감해라.

시대를 읽고 이해할 때, 그 시대의 사람들과 소통할 때 비로소 한 분야를 대표하는 브랜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 마음에 어떤 브랜드가 제대로 자리 잡긴 더 힘들어졌다. 브랜드 쉽게 만들기 좋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