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비즈섹션
    시사 2021. 2. 7. 22:39

    2021.02.04

     

    1) 창의적 아이디어 생산 방법론

    '반복훈련 한다고 창의적 아이디어 샘솟는 건 아니다'
    멜라니브룩스 컬럼비아대 비즈니스 스쿨교수

    #1.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번갈아 하여 사고의 과정이 유사해지지 않도록 해라.

    확산적 사고: 문제에 대해 광범위 하게 생각하는 것 ex) 신제품 이름 생각하기

    수렴적 사고: 주어진 단서 간의 연결성 파악 ex) 제품 특징간의 연결성 파악하기

    #2.

    아이디어 회의는 2-3명이서 진행할 것

    심리적 안정감에 기인함.

     

    2) 가업승계

    '삼성부터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가업승계가 큰 이슈다'

    안드레 안도니안 맥킨지 한국사무소 대표

    #1. 장점

    '일반상장사대비 수익성이 높은 편이다.'

    장기적인 시각에서 운영하기 때문

    #2. 성공적인 승계준비

    모든 승계는 5-10년 전부터 준비할 것

    교육 프로그램 필요

     

    3) 경제성장-생산성

    '고령화와 인구구조 문제도 심각하다'

    >>생산성X노동인구 유입

    생산성은 디지털화, 이주노동자의 문제점은..?

    -노동자 관점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고용환경

    >구조조정이 닥치면 우선 조정 대상자가 될 수 있음.

    -경제적 관점

    저임금 노동자의 경우 노동으로 발생시키는 가치보다 사회 보장차원에서 투입되는 비용이 더 클 수 있음.

    기술 노동자의 경우 자국의 사회 보장 제도에 기여할 확률이 높음.

    저임금 노동자의 경제적 가치(사회적기여도)에 대한 확인 필요.

     

    4) 이익공유제

    '한국 정치권과 재계에서 이익공유제 논란이 있다.'

    경쟁력은 동일 업종 내에서 결정해야. 산업별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다.

    이익을 공유하는 것을 결정하려면,
    해당 기업이 산업 내에서, 그리고 글로벌에서 가진 경쟁력에 어떤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지 확인필요.

     

    5) 아시아의 가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아시아가 갖는 잠재력을 평가한다면'

    코로나 이전부터 아시아는 가속화되고 있는 글로벌 트렌드였다.

    아시아 기술 기업의 매출이 전 세계 성장에서 52%

    스타트업 투자 43%

    -가치사슬의 디지털화

    -신재생 에너지

    -자동차 SW, 전장부품 생산

    -디지털 서비스 분야 매출 30% 성장

    >> 아시아만의 잠재력일까?

    크게 산업의 디지털화, 친환경적 바람인데, 이 바람을 타고 기술 기업, 스타트업이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세계적으로 같은 트렌드가 있다면,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자본을 가진 열강들이 아닐까?.?

    그래도 디지털기반 사업으로 산업구조를 재편할 수 있는 국가는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신사업 전략을 통해 보는 유망 사업  (0) 2021.02.13
    중소기업_K뷰티 플랫폼 스타일코리안  (0) 2021.02.12
    스타트업뉴스_면도날 구독 서비스  (0) 2021.02.08
    비즈섹션  (0) 2021.02.07
    비즈섹션  (0) 2021.02.07

    댓글

Designed by Tistory.